다음과같이 initializr로 프로젝트를 생성해주었다.
이후 dependencies 체크후
MySQL 워크벤치에서
CREATE TABLE friend (
id SERIAL PRIMARY KEY,
name VARCHAR(255),
email VARCHAR(255)
);
해주고,
INSERT INTO friend (name, email) VALUES
('김민수', 'minsu.kim@example.com'),
('이하은', 'haeun.lee@example.com'),
('박서준', 'seojun.park@example.com'),
('최지우', 'jiwoo.choi@example.com'),
('정다현', 'dahyun.jung@example.com'),
('손예진', 'yejin.son@example.com'),
('노준호', 'junho.noh@example.com'),
('윤서아', 'seoah.yoon@example.com'),
('임태현', 'taehyun.lim@example.com'),
('한지안', 'jian.han@example.com'),
('조유리', 'yuri.jo@example.com');
데이터 insert 하고 잘들어갔는지확인 완료.
이후 application.properties 확장자 yml로 리팩터링해주고 다음과같이 설정
spring:
application:
name: friendapp
datasource:
url: jdbc:mysql://localhost:3307/mysql
username: chill
password: chill
driver-class-name: com.mysql.cj.jdbc.Driver
본인같은 경우는 8080이 점유되어있기 때문에
server:
port: 8181
추가해주었음.
friendapp에 패키지 - controller, domain, repository, service 생성완료
이후, 각각 하위 java 파일 생성해주었음.
실습에선 데이터 추가(FriendService클래스의 addFriend(friend)메서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) 기능까지 완료하였다.
'멋쟁이사자처럼_부트캠프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TIL 회고] 백엔드 부트캠프 13기: Java 44일차 JPA (1) | 2025.02.14 |
---|---|
[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TIL 회고] 백엔드 부트캠프 13기: Java 43일차 EJB (0) | 2025.02.12 |
[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TIL 회고] 백엔드 부트캠프 13기: Java 40일차 스트림 (0) | 2025.02.06 |
[멋쟁이사자처럼 부트캠프 TIL 회고] 백엔드 부트캠프 13기: Java 37일차 쿠키, 세션 그리고 토큰 (2) | 2025.02.03 |
Spring AOP 개념 심화 (1) | 2025.01.21 |